홈 > 에코 경제 > 증권
"이러려고 공매도 과열 지정했나" 개미들의 분통
페이지 정보
김병훈 기자 작성일승인 2017-10-23 10:08 수정 2017-10-23 10:08관련링크
본문
셀트리온 주가가 또 다시 공매도에 발목이 잡힌 것으로 뒤늦게 드러나면서 공매도 규제 대책의 실효성 논란이 뜨거워지고 있다.
코스닥 시가총액 1위 셀트리온은 지난달 29일 임시 주주총회에서 내년 2월께 코스피로의 이전 상장을 의결했다. “지긋지긋한 공매도를 더는 못 참겠다”는 소액주주들의 청원 운동이 이런 결정의 배경이 됐다.
이전 상장 결정 이후 셀트리온 주가는 순풍에 돛을 단 듯 연일 올랐다. 바이오시밀러(복제약) 실적 기대감에다 이전 상장 이슈가 더해지면서다.
셀트리온 주가는 지난 18일 19만2100원에 거래를 마감해 한달 새 50.4% 급등했다. 그러던 주가가 이튿날엔 돌연 개장 때부터 맥을 못 추더니 8.8% 하락 마감했다. 소액주주들은 고개를 갸웃거렸다. 숨은 공매도 복병이 배후에 있었음이 이날 뒤늦게 드러났다. 소액주주 등이 다시 들고 일어났다.
지난 18일은 셀트리온이 공매도 과열종목으로 지정돼 공매도 거래가 금지된 날이었다. 하지만 웬걸 이날 셀트리온 25만 164주(거래대금 504억7069만원)가 공매도 거래됐다. 이런 사실은 한국거래소가 이날 저녁 공매도 종합포털(short.krx.co.kr)에 공시를 올리면서 뒤늦게 드러났다. 아울러 당일 셀트리온은 주식 선물거래에서 공매도 규모가 사상 최대인 4841억원에 달하고 헤지 거래도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거래소는 이에 대해 “공매도 과열종목으로 지정되더라도 선물시장 조성자나 상장지수펀드(ETF)의 유동성 공급자로 지정된 증권사에 대해서는 위험 관리 목적의 공매도 거래를 허용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예외조항’이 문제의 발단이 됐던 것.
이런 사실을 까맣게 모르고 있다 뒤통수를 맞은 개인투자자들이 들고 일어났다. 이들은 “구멍 뚫린 공매도 규제안이 투자자를 기만했다”며 금융당국을 성토하고 나섰다.
공매도는 주식을 빌려 매도한 후 주가가 떨어지면 빌린 가격보다 싸게 주식을 매수해 갚는 투자기법 중 하나. 주가 하락이 예상될 때 위험을 헤지하는 방법이다. 공매도는 시장의 유동성과 건전성을 키우는 한편, 차익거래나 헤지거래 등 다양한 투자전략을 가능토록 해 시장 참여자를 늘린다고 공매도 옹호자들은 주장한다.
반면 개인투자자들은 공매도에 대해 극도의 거부감을 보인다. 공매도가 가능한 종목과 수량 등이 기관투자가에 비해 제한돼 있는데다 주가 손실의 쓰라림을 맛본 직접적 경험 때문이다.
셀트리온은 공매도에 시달린 대표적 종목이다. 공매도 물량에 짓눌려 주가가 오르지 못하자 서정진 회장은 직접 나서 모든 지분을 팔겠다고 선언했을 정도. 지난해에는 한미약품이 공매도 논란으로 큰 파문을 불렀다. 호재성 공시와 악재성 공시가 하루 차이로 나왔는데, 내부정보를 미리 입수한 기관투자자가 공매도로 수익을 챙긴 것으로 조사결과 밝혀지기도 했다.
공매도 논란이 끊이지 않자 당국도 규제 고삐를 점차 죄왔다. ▲공매도 공시제 도입(지난해 6월) ▲공매도 억제를 위한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제' 시행(올해 3월) ▲공매도 종합포털 개설(올해 6월) 등 조치가 잇따랐다. 공매도 규제 대책에 대한 실효성 논란이 일자 한국거래소는 지난달 25일에는 과열종목 지정기준 완화를 골자로 하는 규제 강화책을 추가로 내놨다.
이번 셀트리온 주식 공매도 논란과 관련, 애초 예외조항 내용을 투자자들에게 미리 자세히 알리기만 했더라도 문제를 키우지 않았을 것이라는 질타가 나온다. 그렇잖아도 공매도는 소액투자자들에게 불리한 '기울어진 운동장'이라는 지적이 적잖다. 공매도 제도의 투명성을 높이고 개인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김병훈 기자 successnews@successnews.co.kr
Copyright ⓒ 썩세스경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